반응형

java 42

Java 함수형 인터페이스와 메서드 참조: 람다식의 기반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리는 자바 제네릭스의 심화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제부터는 자바 8부터 도입된 새로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대해 더 깊이 있게 다뤄볼 차례입니다. 그 시작점은 바로 람다식(Lambda Expression)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가지 핵심 개념,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와 메서드 참조(Method Reference)입니다.이 두 가지를 제대로 이해해야만, 자바 8 이후의 모던한 코드를 읽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고: 2025.07.31 - [개발언어/JAVA] -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과 스트림 API(Stream API): 간결하고 효율적인 코드 작성 ""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형 인터페이스가..

개발언어/JAVA 2025.08.04

Java 제네릭스(Generics) 심화: 와일드카드와 타입 소거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에 우리는 자바 컬렉션 프레임워크를 다루면서 List, Map처럼 타입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제네릭스(Generics)의 기본 개념을 접했습니다."" 참고: 2025.07.30 - [개발언어/JAVA] - Java 제네릭스(Generics): 타입 안전성과 코드 재사용성 향상 "" 제네릭스는 컴파일 시점에 타입 안정성을 보장하고, 불필요한 타입 캐스팅을 줄여 코드를 더 간결하게 만들어주는 강력한 기능입니다.하지만 제네릭스를 깊이 있게 사용하다 보면, List와 List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나, 특정 타입의 상위 또는 하위 타입만 허용하는 유연한 코드를 작성해야 할 필요가 생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네릭스의 심화 개념인 와일드카드(Wildcard)와 제네릭스가 어떻게 동작하..

카테고리 없음 2025.08.03

Java 어노테이션(Annotation): 메타데이터와 커스텀 어노테이션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에 우리는 리플렉션(Reflection)을 통해 프로그램이 런타임에 자기 자신의 구조를 분석하고 조작하는 강력한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리플렉션이 코드의 동작(Behavior)을 다루는 기술이라면, 오늘 다룰 어노테이션(Annotation)은 코드에 메타데이터(Metadata)를 추가하는 기술입니다.어노테이션은 코드 자체의 실행 로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컴파일러, JVM, 또는 다른 개발 도구들이 코드를 처리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노테이션의 기본 개념을 복습하고, 우리만의 커스텀 어노테이션을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목차어노테이션(Annotation) 이란?자바 표준 어노테이션 복습메타 어노테이션(M..

개발언어/JAVA 2025.08.03

Java Reflection API: 런타임에 클래스 정보 조작하기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컴파일 시점에 클래스와 객체의 정보가 모두 정해진 상태에서 코드를 작성했습니다.하지만 때로는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런타임(Runtime)에 동적으로 클래스의 정보를 알아내고, 심지어는 그 구조를 조작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특정 클래스의 이름만 알고 있을 때 해당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거나, 클래스 내부의 private 필드에 접근하고 싶을 때 말이죠.이러한 메타 프로그래밍(Meta-programming)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Java Reflection API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flection이 무엇인지, 주요 기능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목차Reflection 이란 무엇인가?Class 객체: Refle..

개발언어/JAVA 2025.08.02

Java I/O (입출력) 심화: 파일과 네트워크 통신 다루기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자바의 핵심 데이터 구조를 다루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았습니다.하지만 실제 프로그램은 메모리 내부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키보드 입력 등 외부와 끊임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이러한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Java I/O(Input/Output) API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존의 바이트/문자 스트림의 개념을 넘어, 자바 I/O의 심화된 내용인 보조 스트림, 파일 시스템 조작, 그리고 Java 7부터 도입된 NIO.2(New I/O)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뤄보겠습니다."" 참고: 2025.07.30 - [개발언어/JAVA] - Java 파일 입출력(File I/O): 외부 파일 읽고 쓰기 "" J..

개발언어/JAVA 2025.08.02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 심화: Map, Set의 고급 활용 및 커스텀 구현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에 우리는 자바의 List와 ArrayList를 통해 여러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참고: 2025.07.29 - [개발언어/JAVA] -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 기초: 데이터 모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List, Set, Map) "" 하지만 프로그램의 요구사항은 단순히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 이상을 필요로 합니다.예를 들어, 고유한 값만 저장해야 하거나, 특정 키(Key)를 통해 값(Value)을 빠르게 찾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러한 다양한 데이터 관리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Java는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를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핵심인 Map..

개발언어/JAVA 2025.08.01

Java 멀티스레딩(Multi-threading)의 이해: 프로그램 성능과 응답성 향상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자바의 핵심 문법과 객체 지향, 그리고 예외 처리를 통해 견고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을 배웠습니다.그런데 우리가 만든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작업(프로세스)을 순차적으로 처리합니다.만약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오랜 시간이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멈추지 않도록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바로 멀티스레딩(Multi-threading)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멀티스레딩이 무엇인지, 어떻게 스레드를 만들고 관리하는지, 그리고 동시에 여러 스레드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목차프로세스(Process)와 스레드(Thread)스레드(Th..

개발언어/JAVA 2025.08.01

Java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 심화: 안전하고 견고한 프로그램 만들기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오늘은 자바 프로그래밍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에 대비하는 필수적인 기법,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혹시 이전에 제가 작성했던 예외 처리 관련 포스팅을 보셨다면, 이번 글은 그 내용을 더욱 심화하고 Java 7 이후의 주요 기능(예: try-with-resources, 멀티 catch)과 사용자 정의 예외 생성 등 실제 개발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고급 기법들을 추가하여 업그레이드한 버전이라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참고: 2025.07.29 - [개발언어/JAVA] - Java 예외 처리: 예상치 못한 오류에 대처하는 방법 (try-catch, throws) ""프로그램 개발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에러 상황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

개발언어/JAVA 2025.07.31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과 스트림 API(Stream API): 간결하고 효율적인 코드 작성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Java 8부터 도입된 람다식(Lambda Expression)과 스트림 API(Stream API)는 자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한 단계 발전시킨 강력한 기능입니다.이 두 가지는 복잡한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고, 멀티코어 환경에서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람다식이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스트림 API와 함께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목차람다식(Lambda Expression)이란 무엇인가?왜 람다식을 사용하는가?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람다식 문법스트림 API(Stream API)란 무엇인가?스트림의 특징스트림의 흐름: 생성 - 중간 연산 - 최종 연산스트림 생성하기컬렉..

개발언어/JAVA 2025.07.31

Java 제네릭스(Generics): 타입 안전성과 코드 재사용성 향상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Java의 다양한 기능을 살펴보면서, 우리가 만든 프로그램이 특정 타입의 데이터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느꼈을 겁니다. 예를 들어, ArrayList은 문자열만 저장할 수 있고, ArrayList는 정수만 저장할 수 있었죠.만약 여러 타입의 데이터를 다루는 범용적인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그리고 잘못된 타입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컴파일 시점에 막을 수는 없을까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Java의 강력한 기능이 바로 제네릭스(Generics)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네릭스가 무엇이며, 왜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목차제네릭스(Generics)란 무엇인가? 왜 사용해야 하는가?제네릭스의..

개발언어/JAVA 2025.07.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