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 42

Java 로깅(Logging) 프레임워크 완벽 정리: Log4j, SLF4J, Logback 비교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리는 JDBC를 통해 자바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이제부터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 **로깅(Logg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개발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어떤 순서로 동작했는지 알아야 합니다. System.out.println()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로깅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의 "블랙박스 기록장치" 역할을 하며, 프로그램의 상태, 오류, 경고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해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깅이 왜 필요한지, 자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로깅 프레임워크인 SLF4J, Logback, Log4j를 비교하며 핵심 개념과 사용법을 완벽하게 정리해..

개발언어/JAVA 2025.08.09

Java,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해결과 예방: 자바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자바 초보자들이 NullPointerException 다음으로 자주 마주치는 오류가 바로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입니다. 이 오류는 마치 정해진 개수의 번호표가 있는 상자들(0번, 1번, 2번…) 중에서, 존재하지 않는 번호표(-1번이나 3번)를 찾아가려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와 같습니다.배열은 크기가 고정되어 있고 각 요소에 인덱스(번호)로 접근하기 때문에, 인덱스 범위를 벗어나면 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오류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목차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이란?흔히 발생하는 3가지 상황 (코드 예제)단계별 해결 및 예방 방법대안을..

문제해결 2025.08.08

Java JDBC 완벽 가이드: Java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 연동하기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자바의 기본 문법과 최신 기능들을 다루며 단일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하지만 현대의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해야 합니다.웹 서버, 모바일 앱 백엔드 등 모든 곳에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합니다.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SQL 쿼리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 API입니다.JDBC는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며,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해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DBC의 핵심 개념부터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

개발언어/JAVA 2025.08.08

Java, NullPointerException 해결법과 예방: 자바 개발자가 알아야 할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자바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마주쳤을 가장 흔하고 골치 아픈 오류가 있습니다. 바로 NullPointerException입니다. 이 오류는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다가도 갑자기 멈춰버리는 주된 원인이 되곤 합니다.마치 내용물이 없는 빈 상자를 열려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와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지긋지긋한 NullPointerException이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앞으로는 예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목차NullPointerException이란?흔히 발생하는 3가지 상황 (코드 예제)단계별 해결 및 예방 방법더 좋은 코딩 습관으로 예방하기NullPointerException이란?NullPointerException은 객체 참..

문제해결 2025.08.07

Java Pattern Matching for instanceof: 코드 간결성 향상 (Java 16+)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리는 자바 17의 봉인 클래스를 통해 클래스 상속을 엄격하게 통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이번에는 봉인 클래스와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가 더욱 커지는 자바 16의 새로운 기능, instanceof를 위한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for instanceo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자바 코드에서 객체의 타입을 확인하고 형변환(Casting)하는 과정은 매우 흔하면서도 반복적인 작업이었습니다.이 패턴은 코드를 길고 복잡하게 만들고, 때로는 ClassCastException과 같은 런타임 오류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instanceof를 위한 패턴 매칭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입 확인과 형변환을 단일한 표현식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

개발언어/JAVA 2025.08.07

Java Sealed Classes (봉인 클래스): 클래스 상속 및 인터페이스 구현 제한 (Java 17+)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레코드를 통해 데이터 클래스를 간결하게 정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이번에는 자바 17에 정식 기능으로 도입된 또 다른 중요한 개념, 봉인 클래스(Sealed Classes)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자바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상속은 핵심적인 기능입니다.하지만 때로는 의도하지 않은 상속이 발생하여 API의 안정성을 해치거나, 클래스 계층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봉인 클래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누가 상속(extends)하거나 구현(implements)할 수 있는지 명시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봉인 클래스가 무엇인지, 왜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패턴 매칭(Pattern Match..

개발언어/JAVA 2025.08.06

Java 레코드(Record): 데이터 클래스의 간결한 정의 (Java 16+)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자바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강력한 도구이지만, 때로는 단순한 데이터 저장용 클래스를 만들 때에도 불필요하게 많은 코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private final 필드, 모든 필드를 받는 생성자, equals(), hashCode(), toString() 메서드 등은 대부분의 개발자가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상용구 코드(Boilerplate Code)였습니다. 자바 14에서 프리뷰 기능으로 도입되어 자바 16에 정식 기능이 된 레코드(Record)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레코드는 불변(Immutable)의 데이터 객체를 간결하게 정의할 수 있는 특별한 종류의 클래스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코드가 무엇인지, 기존 클래스와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어떻게 코드를..

개발언어/JAVA 2025.08.06

Java 모듈 시스템(Module System): 프로젝트의 구조를 혁신하다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리는 CompletableFuture를 통해 자바의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이제 주제를 바꿔, 자바 9부터 도입된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인 모듈 시스템(Module System)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자바는 오랫동안 클래스패스(Classpath)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해왔습니다.하지만 이 방식은 거대한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을 관리하기 어렵고, 불필요한 의존성까지 모두 포함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자바 모듈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프로젝트의 구조를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듈 시스템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모듈을 정의하고..

개발언어/JAVA 2025.08.05

Java CompletableFuture: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정석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리는 자바 8의 스트림 API를 통해 함수형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자바 8이 가져온 또 하나의 혁신적인 변화인 비동기 프로그래밍으로 주제를 옮겨보려 합니다. 네트워크 통신, 파일 I/O, 데이터베이스 쿼리와 같은 작업은 완료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시간 동안 메인 스레드를 멈추게(Blocking) 만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저하시킵니다. CompletableFuture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데 있어 Future를 대체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ompletableFuture가 무엇인지, 어떻게 비동기 작업을 연결하고 조합하며, 예외를 처리하는지 자세..

개발언어/JAVA 2025.08.05

Java 스트림 API: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데이터 다루기

안녕하세요, 코드덕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우리는 람다식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기술인 함수형 인터페이스와 메서드 참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제 이 개념들을 활용하여 실제 데이터를 다루는 강력한 도구, Java 스트림 API를 살펴볼 차례입니다."" 참고: 2025.07.31 - [개발언어/JAVA] -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과 스트림 API(Stream API): 간결하고 효율적인 코드 작성 """" 참고: 2025.08.03 - [개발언어/JAVA] - Java 함수형 인터페이스와 메서드 참조: 람다식의 기반 이해하기 "" 스트림 API는 자바 8에 도입된 기능으로, 컬렉션이나 배열 등의 데이터를 함수형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반복문과 조건문으로 복잡하..

개발언어/JAVA 2025.08.04
반응형